해당 게시글은 웹을 공부하기 위해 개인적으로 기록했던 자료입니다.
Servlet과 JSP는 브라우저의 요청중에서 동적인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부분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같습니다. 예를 들어 폼 데이터를 버튼을 통해 전송하고 해당 데이터를 다른 곳에서 핸들링한다는 얘기입니다.
그러나 Servlet은 Logic중심이고 JSP는 Tag기반으로 코드를 작성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Servlet에서는 <>
를 통해 화면을 구성하지 않습니다. 순수하게 데이터 핸들링을 통해 결과값을 얻습니다. 반면에 JSP는 데이터 핸들링도 할 수 있고 Tag기반이라서 화면을 좀 더 쉽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Servlet은 out.println()을 해야하는 반면 JSP는 일반 HTML파일과 구성이 같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Servlet은 인스턴스이기 때문에 동적인 페이지를 만든다면 무조건 생성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안쓰는 선택지를 고려할 수 없습니다. ?? JSP가 있는데 무슨말이지 하겠지만 종국에는 JSP파일이 Servlet파일로 변환된다는 말입니다.
앞에서 썼던 life cycle 코드에 jsp파일을 추가해보겠습니다.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Insert title here</title>
</head>
<body>
<h2 align="center">LifeCycle...CallBack Method Test...</h2>
<a href="Life2">LifeCycle Test...Click</a>
</body>
</html>
a href의 링크를 Life2로 줍니다. xml에서는 url-pattern Life2가 Servlet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Servlet안에서 jsp와 연결할 것입니다.
package servlet.life;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PrintWriter;
import javax.servlet.ServletConfig;
import javax.servlet.ServletException;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public class ServletLifeCycleTest2 extends HttpServlet {
private static final long serialVersionUID = 1L;
private int count = 0;
public ServletLifeCycleTest2() {
super();
System.out.println(this.count+" ServletLifeCycleTest2 constructor....by container");
}
public void init() throws ServletException {
System.out.println(this.count+" ServletLifeCycleTest2 init....by container");
}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this.count+" ServletLifeCycleTest2 destroy....by container");
}
public ServletConfig getServletConfig() {
return null;
}
public String getServletInfo() {
return null;
}
protected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this.count++;
System.out.println(this.count+" ServletLifeCycleTest2 service....by container");
response.set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PrintWriter out = response.getWriter();
out.println("<a href='life2.jsp?cnt="+count+"'>life2.jsp로 이동합니다</a>");
out.close();
}
protected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System.out.println("doGet....");
service(request, response);
}
protected void doPos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System.out.println("doPost....");
service(request, response);
}
}
Local 환경에서 Tomcat home으로 들어가서 배포된 파일들을 보겠습니다.
tomcat-home> webapps안에 배포되게 했었습니다. root context안에 WEB-INF는 동적인 프로그램들이 들어가야 하는데 jsp파일은 그 바깥에 있습니다. jsp파일은 태그기반이기 때문에 html파일들이 배포되는 곳과 동일한 곳에 배포가 됩니다.
Tomcat home에서 work폴더로 들어가면 Catalina라는 폴더가 나옵니다. 톰캣은 여러개의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Tomcat의 core component은 Catalina라고 말합니다. Servlet스펙의 실질적인 구동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Catalina에 들어가면 localhost > root context이름을 가진 폴더들이 나옵니다. 그 안에 org>apache>jsp파일로 들어가면 우리가 작성했던 jsp파일들이 확장자가 .java로 가진것과 .class를 가진것을 볼 수 있습니다.
.java확장자로 가진것이 바로 .jsp파일이 Servlet파일로 변환된 모습입니다. life2_jsp.java파일을 Editplus로 열어보면 아래와 같은 java코드를 볼 수 있습니다.
Servlet으로 변환된 jsp파일.